분류 전체보기 2561

능력주의 비판

https://blog.naver.com/jykang73/222780325043 [책] 한국의 능력주의, 박권일 (2022/06) 도서관에 새로 들어온 책 중 재미있어 보여 대출한 책이다. '한국인이 기꺼이 참거나 죽어도 못 참는 ... blog.naver.com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36479114&orderClick=LEa&Kc=#book_info 시험능력주의: 한국형 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강화하는가 - 교보문고 한국형 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강화하는가 | 시험이 능력을 판별하는 유일한 기준이라는 생각, 한국형 능력주의 2022년 20대 대통령선거 결과 서울대..

정서학설. 1(비고츠키선집 13)

정서학설. 1(비고츠키선집 13) 역자 비고츠키 연구회 출판 살림터 | 2021.8.28. 책소개 ‘정서 학설’은 감정에 대한 새로운 심리학의 토대를 마련한다. 이 연구에서 비고츠키는 당대의 정서 심리학 분야를 구성하고 있던 위대한 이론이 스피노자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는 착각에 맞선 투쟁을 하고자 한다. 그러한 환상의 타파는 그에게 이론적으로 이중적 움직임을 허용했다. 이는 한편으로 이들 심리학을 진정한 근원인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연결 짓고, 다른 한편으로 진정으로 스피노자의 철학 유산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심리학의 길을 닦는 것이다. 감정에 관한 이 새로운 심리학의 구성은 세 가지 원칙에 따른다. 첫째, 하나의 통일된 방식, 즉 반反이원론적 방식으로 정서에 접근한다. 둘째, 마음속 정서의 의미와 신체적 ..

[카를 마르크스](1914) / 레닌(1870~1924)지음.

[카를 마르크스](1914) / 레닌(1870~1924)지음. 이 책을 읽는 분에게,카를 마르크스:약전略傳과 마르크스주의의 해설,마르크스의 학설:철학적 유물론/변증법/유물사관/계급투쟁,마르크스의 경제학설:가치/잉여가치/사회주의,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투쟁 전술,부록: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구성 부분,연보 로 구성.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안내서로서 가장 중요한 고전 문헌의 하나가 된 이 레닌의 논문은 1914년 7월부터 11월까지 사이에 쓰여졌다. 처음에는 《그라나다》 백과사전 제7판에 실리기 위해 쓰여졌으나, 후에는 《레닌전집》에 수록되었다.이 책의 끝에 붙인 은 레닌의 다른 저작으로부터 인용하여 쓴 것이다. 마르크스주의라는 것은 마르크스의 모든 견해 및 모든 학설의 체계를 말한다. 마르크스는 인류..

사회/자본 2022.01.08

비고츠키와 마르크스

비고츠키와 마르크스 마르크스주의 심리학을 위하여 ​ 추천사 오랫동안 고대하던 책이 나왔습니다.마르크스주의적 입장에서 비고츠키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룬 책이 드디어 나온 것입니다. 이 책이 특별히 반가운 이유는 비고츠키로부터 마르크스주의를 거세해 버린 왜곡된 상황을 바로잡음으로써 비고츠키 이론과 개념들을 좀 더 올바로 이해하고 그 속에 잠재된 혁명적 힘을 발휘할 수 있게 하리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비고츠키의 발달심리학이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서구 학자들이 마르크스주의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비고츠키 이론을 소개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비고츠키의 놀라운 연구성과에 경탄해 마지않았지만 비고츠키의 철학적,학문적 토대로서 마르크스주의를 분리하고 연구 성과의 결론이나 ..

비고츠키와 구성주의 - 진보교육연구소

비고츠키와 구성주의 - 진보교육연구소 피노키오15.02.20 4.비고츠키 복권 선언 1. 변증법적 유물론에 입각한 진보적 교수-학습론의 창시자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에 대한 심리학적으로 적절한 적용”은 비고츠키의 고등심리과정들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론의 정확한 요약..(코일, ‘사회속의 정신’서론, p23, 조희숙 외 옮김) ‘비고츠키는 마르크스주의적 사고를 가치있는 과학의 토대로 보면서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을 자신의 심리학에 적용하였다’(한순미, ‘비고츠키와 교육’, p17, 교육과학사, 1999) 한국에서는 주로 사회적 구성주의자로 알려져 있지만 비고츠키는 맑시즘 교육학자로서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유물론에 기초한 교육심리학과 발달이론을 발전시켜 나간 선구자이다. 비고츠키 이론은 ‘..

『자본론』 읽기 ①: 상품의 두 요소와 상품에 체현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자본론』 읽기 ①: 상품의 두 요소와 상품에 체현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글쓴이: 성두현 - 2018년 9월 20일 0 7377 [사진: 사회주의자] [연재기사 다시보기] 『자본론』 읽기 ②: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자본론』 읽기 ③: 『자본론』의 핵심, 물신성 문제의 시작―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자본론』 읽기 ④: 교환과정과 화폐물신성 『자본론』 읽기 ⑤: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가치의 척도, 유통수단) 『자본론』 읽기 ⑥: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축장, 지불수단, 세계화폐) 『자본론』 읽기 ⑦: 화폐가 ‘자유로운 노동자’를 만나 자본이 된다 『자본론』 읽기 ⑧: 자본주의 착취구조의 해명―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자본론』 읽기 ⑨: 노동시간(노동일)을 둘러싼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의 계급투..

사회/자본 2021.12.20

『자본론』 읽기 ②: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자본론』 읽기 ②: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성두현 2018년 9월 27일 [연재기사 다시보기] 『자본론』 읽기 ①: 상품의 두 요소와 상품에 체현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자본론』 읽기 ③: 『자본론』의 핵심, 물신성 문제의 시작―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자본론』 읽기 ④: 교환과정과 화폐물신성 『자본론』 읽기 ⑤: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가치의 척도, 유통수단) 『자본론』 읽기 ⑥: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축장, 지불수단, 세계화폐) 『자본론』 읽기 ⑦: 화폐가 ‘자유로운 노동자’를 만나 자본이 된다 『자본론』 읽기 ⑧: 자본주의 착취구조의 해명―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자본론』 읽기 ⑨: 노동시간(노동일)을 둘러싼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의 계급투쟁 『자본론』 읽기 ⑩: 제10장 노동일 제2~..

사회/자본 2021.12.20

『자본론』 읽기 ③: 『자본론』의 핵심, 물신성 문제의 시작―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자본론』 읽기 ③: 『자본론』의 핵심, 물신성 문제의 시작―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성두현 2018년 10월 8일 [사진: http://www.polithistory.ru/] [연재기사 다시보기] 『자본론』 읽기 ①: 상품의 두 요소와 상품에 체현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자본론』 읽기 ②: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자본론』 읽기 ④: 교환과정과 화폐물신성 『자본론』 읽기 ⑤: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가치의 척도, 유통수단) 『자본론』 읽기 ⑥: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축장, 지불수단, 세계화폐) 『자본론』 읽기 ⑦: 화폐가 ‘자유로운 노동자’를 만나 자본이 된다 『자본론』 읽기 ⑧: 자본주의 착취구조의 해명―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자본론』 읽기 ⑨: 노동시간(노동일)을 둘러싼 노동자계급과 자본..

사회/자본 2021.12.20

『자본론』 읽기 ④: 교환과정과 화폐물신성

『자본론』 읽기 ④: 교환과정과 화폐물신성 성두현 2018년 10월 24일 [사진: https://pxhere.com] [연재기사 다시보기] 『자본론』 읽기 ①: 상품의 두 요소와 상품에 체현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자본론』 읽기 ②: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자본론』 읽기 ③: 『자본론』의 핵심, 물신성 문제의 시작―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자본론』 읽기 ⑤: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가치의 척도, 유통수단) 『자본론』 읽기 ⑥: 화폐의 기능들 파헤치기(축장, 지불수단, 세계화폐) 『자본론』 읽기 ⑦: 화폐가 ‘자유로운 노동자’를 만나 자본이 된다 『자본론』 읽기 ⑧: 자본주의 착취구조의 해명―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자본론』 읽기 ⑨: 노동시간(노동일)을 둘러싼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의 계급투..

사회/자본 2021.12.20

정치경제학 학습을 위한 몇 가지 도움말

정치경제학 학습을 위한 몇 가지 도움말 성두현 2021년 5월 24일 [사진: 사회주의자] 필자는 현재 매체 『사회주의자』 주최의 정치경제학 강좌에서 강사를 하고 있다. 전체 강좌는 여섯 개의 강좌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미 3강이 진행되었고, 필자는 이 중 1강 상품과 화폐, 2강 잉여가치의 생산을 담당하였다. 필자는 여러 번 『자본론』 강좌나 정치경제학 강좌에서 강사를 담당해왔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 분들이 학습에서 자주 겪는 혼동이나 어려움을 알게 되었다. 또한 내용의 이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개념(키워드)들이 있는데 학생 분들이 이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면 다른 내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해설하여 정치경제학 학습을 하거나 앞으로 하려고 하는 분들에게 몇 가지 ..

사회/자본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