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edu

[인터뷰]조희연 교수 "'혁신학교' 넘어서 '혁신교육 시즌2'로"

인서비1 2014. 3. 17. 20:56

 

[인터뷰]조희연 교수 "'혁신학교' 넘어서 '혁신교육 시즌2'로"

입력시간 | 2014.03.17 08:05 | 박보희 기자 tanbbang@

 

 

[이데일리 박보희 기자] “‘혁신교육 시즌2’를 열겠습니다. 혁신학교를 넘어서는 교육 전반의 혁신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오는 6월 시도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 선거가 치러진다. 오는 18일이면 진보성향 시민단체들이 만든 ‘2014 서울좋은교육감 시민추진위원회’ 주도로 시민선거인단 투표와 여론조사 등을 통해 단일 후보가 결정된다. 조희연(58) 성공회대 교수는 장혜옥 학벌없는 사회 대표, 최홍이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과 서울시교육감 단일 후보 자리를 두고 경선 중이다.

조 교수는 김상곤 경기도교육감과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을 배출한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협의회(민교협)’ 상임의장 출신이다. 지난 1995년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함께 참여연대 창립을 주도하기도 했다.

조 교수는 민교협 시절 교육민주화 투쟁을 지원하며 경험한 교육 현장의 아픔이 출마를 결정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교육은 보수와 진보의 문제가 아닌 청소년들의 삶과 죽음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고통스러운 교육 현실을 바꾸는 개혁 전도사가 돼야겠다는 생각에 결심을 했어요. ‘교육자치의 박원순, 서울 교육의 김상곤이 되겠다’는 게 제 목표예요.”

조 교수는 ‘혁신학교의 성과는 계승하되 한계는 넘어서는 것’이 ‘혁신교육 시즌2’라고 설명했다. 현재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들 중에서도 긍정적인 것은 받아들이고, 혁신교육으로 추진됐던 과제들 중에서도 부족한 점은 채워 나가겠다는 것이다.

[인터뷰]조희연 교수 ``혁신학교` 넘어서 `혁신교육 시즌2`로`
조희연 성공회대 교수는 “‘혁신교육 시즌 2’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이데일리 한대욱 기자)
“혁신학교는 교사와 학생 등 학교 구성원들의 관계를 민주화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에요. 학생을 일방적인 훈육 대상이 아닌 자율성을 가진 존재로 보기 때문에 창의적인 교육이 가능한 거죠.”

그는 ‘학교와 마을의 관계 맺기’를 통해 새로운 교육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실험을 계획 중이다.

“제도교육은 학교가 담당하고 방과후학교와 돌봄의 역할 등은 마을이 담당하는 형태를 구상 중이에요. 사기업이 아니라 이웃인 마을 구성원이 직접 맡아 마을 속에 교육 생태계를 조성해주는 거죠.”

이는 조 교수 자신이 살고있는 동네에 수목원이 들어서며 이를 중심으로 지역 공동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지켜봤던 경험에서 비롯됐다.

“서울수목원이 생기면서 야외영화 상영, 정원 가꾸기 학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했어요. 주부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나오고, 주변 대학에서 시민 교육을 하면서 수목원을 중심으로 도시형 공동체 관계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죠. 이를 교육과 연결시키면 어떨까요. 학부모가 내 자식의 교육만이 아닌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새로운 혁신 교육의 주체가 되는 것이죠.”

학생인권조례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는 보완할 점과 계승할 부분이 함께 있다고 평가했다. 그가 지적하는 문제는 학생인권조례를 만들며 ‘교권과 학생인권을 대립하는 가치’로 만든 것이다.

“교권과 학생인권은 대립하는 것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개념이에요. 학생인권과 교권의 대립이 아닌 인권친화적인 교권이 필요해요. 사실 기존의 학생인권의 개념에는 경계가 모호한 지점이 있었죠. 무엇보다 학생을 인권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이 전제 위해서 인권을 해치지 않으면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죠.”

문 교육감이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해서는 ‘공삼과칠(功三過七)’로 평가했다.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직업체험교육을 확대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입시 위주의 교과과정은 그대로 둔 채 임시방편식으로 인성·직업 과정만 덧붙여 진행해 수정할 점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혁신학교의 핵심 요소를 예산 삭감 등 우회적인 방법으로 무력화시킨 점은 비판받아야 해요. 또 여전히 권위주의적인 교육 행정 문화는 바꿀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교육행정부서는 학교 현장 교육을 지원하는 서비스 부서가 돼야죠. 불필요한 정책사업에 현장 교사들을 동원하는 것은 줄이는 방향으로 갈 것입니다.”

수십만에 달하는 학교 비정규직 문제도 그의 관심사다. 이들이 학교 안에 정착할 수 있는 물꼬를 트는 역할이 그의 목표다.

“예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더 고민해봐야 할 사안인 것 같아요. 예산을 배정하는 중앙정부 차원의 결단이 가장 중요하겠죠. 하지만 작은 규모라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교육공무직의 물꼬를 트는 역할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