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여운형과 상해임시정부… 일제 치하에서 몽양의 활약상
강덕상저 김광열 옮김·선인·3만2000원
2017년은 몽양 여운형 선생의 70주기였다. 십진법으로 인물의 생사를 기념하는 데 큰 의미를 두지는 않았으나 70년 전 한반도를 울음바다로 만들었던 몽양의 죽음이 이리 조용히 지나가도 되는가 싶다.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가 추모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 것 외에는 재일사학자 강덕상의 <여운형 평전 1·2>(일본판 2005) 중 2권인 <여운형과 상해임시정부>가 출판됐을 뿐이다. 60주기에 <여운형 평전 1-중국 일본에서 펼친 독립운동>이 번역되고 10년 만에 나온 2권이다. 진지한 연구서는 외면하는 얇고 박한 독서풍토, 여운형이라는 “독립운동가들 중에서도 가장 빛나는 일등성”을 잊어버린 세태가 서글프다.
강덕상은 일제가 수집한 방대한 정보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름이 이동휘, 홍범도, 안창호, 여운형이며 1920년대 이후에도 계속 나오는 건 여운형뿐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일제가 왜 이렇게 그를 주목했는지, 그런 인물에 대한 연구와 평가가 왜 이리 박한지 궁금해 평전을 쓰게 됐다고 밝힌다. 그 말처럼 여운형에 대한 연구는 빈약하고 삶과 사상을 조명한 책은 많지 않다. 회고록과 자료집을 빼면, 강준식의 소설 <혈농어수>와 평전이라 하여 강덕상, 김삼웅, 이기형, 이정식, 정병준이 쓴 책들이 있을 뿐이다. 이 중 이기형과 김삼웅의 책은 객관적 연구와 평가가 담긴 평전이라기보다 일종의 회고록이고 전기다.
맨 먼저 나온 역사학자 정병준의 <몽양 여운형 평전>(1995)은 방대한 자료와 증언을 토대로 해방 직후의 활동을 복기한다. 몽양과 기독교의 관계가 소략돼 아쉽지만, 당시 정국과 몽양의 좌우합작 노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읽다보면 자꾸 한숨이 나온다. 어려워서가 아니라 통일독립국가를 세우려는 몽양이 좌우 극단주의자들에게 12번이나 테러를 당하며 끝내 꺾이고 마는 과정을 보는 게 괴로워서다.
강덕상의 책과 재미 정치학자 이정식의 <여운형>
(2008)은 좀 덜 괴롭다. 좌절을 거듭한 해방 이후와 달리 일제 치하에서의 눈부신 활약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파리 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해 3·1운동과 임정 탄생을 이끌고, 도쿄 한복판에서 독립을 외쳐 일본 정계와 세상을 놀래킨 일은 벅찬 감동을 준다. 그가 사장으로 있던 조선중앙일보가 동아일보가 자랑하는 손기정 일장기 말소사건을 주도했다가 폐간된 것은 사소해 보일 정도다.
몽양은 유창한 영어로 서구 외교관들은 물론 손문, 레닌, 호찌민 등과 교류하며 독립의 당위를 알린 세계적 지도자였다. 강덕상이 미·소의 지원이 없었다면 이승만과 김일성이 아니라 몽양이 한반도의 지도자가 됐을 거라고 보는 이유다. 또한 이정식은 반공청년 강원룡이 단번에 반했을 만큼, 생각이 다른 이들과의 대화를 즐긴 그를 한국 정치사에 보기 드문 민주주의자라고 상찬한다.
김이경 소설가·독서칼럼니스트
<김이경 소설가·독서칼럼니스트>
'Learn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간 탐색]일에 치여 황폐화되는 삶 (0) | 2018.01.07 |
---|---|
스페인 내전 우리가 그곳에 있었다. (0) | 2018.01.06 |
[북리뷰]한국통 미국 외교관이 본 반미 (0) | 2018.01.06 |
[북리뷰]기존 진보에 대한 비판적 고찰 (0) | 2018.01.06 |
러시아 혁명사 /레온 트로츠키 지음·볼셰비키그룹 옮김 (0) | 2018.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