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읽기능력, 15세 땐 OECD 1위.. 55세 이후엔 꼴찌권
[창간 96 특집 / 읽기 혁명]조선일보 박세미 기자 입력 2016.03.04. 03:07
우리나라 중·고교생 읽기 능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떨어져 55세 이후에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하위권 수준으로 추락한다. 나이 들수록 책을 읽지 않는 한국인의 독서율 추세가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다.
2006년 이후 세 차례 치러진 PISA 시험에서 한국 학생들은 OECD 회원국 가운데 1~2위를 기록했다. PISA는 OECD가 3년마다 만 15세 학생만을 상대로 수학·읽기(언어)·과학·문제 해결력을 측정하는 국제 시험으로, 읽기 영역에선 도표와 글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이 같은 읽기 능력이 대학생이 된 만 20세 이후 서서히 떨어져 35세부터는 OECD 평균 이하가 되고, 55세 이후엔 세계 최하위권으로 떨어진다. 이주호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가 OECD 21개 회원국 만16~65세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자료와 2012년 치러진 PISA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은 '대학 입시'라는 관문을 일단 통과하면 읽기 능력이 걷잡을 수 없이 추락한다. 고교생에 해당하는 17~19세 한국인의 읽기 능력은 여전히 높아,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였다. 그러나 대학에 입학한 이후인 20세부터 순위가 급격히 떨어져 핀란드·일본·네덜란드에 이은 5위 안팎으로 떨어졌다.
만 35세 이후부터는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 만 35~44세 한국 성인 남성의 읽기 역량은 OECD 평균보다 떨어졌고, 만 45세부터는 OECD 평균과 크게 점수 차가 벌어지며 최하위 그룹(21개 국가 중 17위)으로 추락했다. 만 55세부터는 21개 국가 중 19위를 차지해 꼴찌에서 셋째였다. 40년 기간을 거치며 한국인의 읽기 역량이 세계 1위에서 OECD 하위권으로 추락하는 것이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회 > 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아동, 삶의 만족도 OECD 꼴찌 (0) | 2016.05.05 |
---|---|
도 넘는 수학선행 학습.. 학원 숙제 시터(sitter) 두기도 (0) | 2016.03.07 |
'사교육 경감-고교 무상교육' 공약, 공수표로 (0) | 2016.02.29 |
수학·과학 학습량 감축…어려운 문제 못 낸다 (0) | 2016.02.26 |
헌재 “초등 1, 2학년 영어수업 금지 정책은 합헌” (0) | 2016.02.26 |